티스토리 뷰
데이터 학습시키기 전, labeling을 안하신 분들은
2020/06/26 - [Capstone Eng_2020] - 아가 뭐해? - Yolo mark를 이용한 labeling
아가 뭐해? - Yolo mark를 이용한 labeling
컴퓨터 세팅을 마쳤으니 이제 학습시키기 전 데이터셋에 labeling을 해줘야합니다. 저희는 가정 내에서 영유아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큰 위험 행동을 1. 엎드려서 자는 행동 ( 질식사고 ) 2. 이�
jainn.tistory.com
이 글을 보고 오시면 됩니다 :)
앞 글을 보면서 labeling 후, train.txt, obj.names, obj.data, img 폴더를 darknet/data 경로로 복사하고, yolov3.cfg 파일을 수정하고 오셨다고 믿고 다음 단계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1. 터미널을 열고 darknet 경로로 들어온 후 다음 명령을 입력해주세요
$ wget https://pjreddie.com/media/files/darknet53.conv.74
2. 학습 시키기 전, darknet/examples 경로에 있는 detector.c 를 수정해줍니다.
학습을 시작하면 결과물로 backup 폴더에 가중치파일이 생성되는데, 이 파일을 학습 100번당 한 번 생성할것인가, 300번 당 한 번 생성할것인가를 바꿔줄 겁니다.
:set number 입력 후, 138 + Shift + g 를 통해 138번째 줄로 이동해줍니다.
if (i%10000==0 || (i<1000&&i%100==0)){
학습이 1000번 미만일 때는 100단위로 가중치 파일을 생성하고, 1000번 이상이 되었을 때는 10000번 단위로 가중치 파일을 생성하라는 뜻입니다.
10000번 단위는 너무 크기때문에 핑크색으로 밑줄친 부분을 100~300 정도 단위로 바꿔줍니다.
-> if (i%100==0 || (i<1000&&i%100==0)){
수정했으면 :wq 로 저장후 나와줍니다.
3. 파일을 수정했으니 darknet 경로로 들어와서 make를 해줍니다.
$ make
2020/06/01 - [Capstone Eng_2020/ERROR] - Darknet make error
make 시 오류가 나면 이 글 보고 clean 한 번 하는 것을 추천
4. make가 끝나면 학습을 위한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.
$ ./darknet detector train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darknet53.conv.74 -gpu 0
저는 학습을 위해 그래픽카드가 2개달린 학교 컴퓨터를 사용했는데,
저처럼 그래픽카드가 2개 달린 컴퓨터를 사용중이라면, -gpu 0 대신 -gpus 0,1 을 써줘야합니다. (0,1 사이에 띄어쓰기 없음 주의.)
학습을 시작하면 이런 것을 볼 수 있는데,
7254 : 7254 번째 학습
0.108170, 0.121511 avg : 현재 손실률 0.108170, 평균 손실률 0.121511
손실률이 떨어지지 않거나, 오히려 증가하면 학습을 중지시켜주세요(Ctrl+c)
저는 6만번 정도 학습을 진행했습니다.
5. 학습이 충분히 되면 가중치 파일로 예제를 실행해보자 !
가중치파일은 darknet/backup 폴더에 있습니다.
[이미지 파일 테스트]
./darknet detector test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[가중치 파일] [이미지 경로]/[이미지파일.jpg]
즉,
./darknet detector test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yolov3_23500.weights data/img/fan1.jpg
[동영상 파일 테스트]
/darknet detector test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[가중치 파일] [동영상 경로]/[동영상파일.확장자]
즉,
./darknet detector demo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yolov3_23500.weights data/media/fan1.mp4
[웹캠 테스트]
./darknet detector demo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[가중치 파일]
즉,
./darknet detector demo data/obj.data cfg/yolov3.cfg backup/yolov3_23500.weights
학습결과가 이상하다면
yolov3.cfg에 batch와 sub~ 이 제대로 잘 되어있나 확인하고,
다른 가중치 파일들로도 테스트 해보시길 바랍니다.
'Capstone Eng_202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YOLOv3 기본개념 (0) | 2021.04.29 |
---|---|
아가 뭐해? - Yolov3 알람 시스템 구현하기 (1) | 2020.06.26 |
아가 뭐해? - Yolo mark를 이용한 labeling (0) | 2020.06.26 |
아가 뭐해? - 컴퓨터 셋팅(4) Ubuntu에 Yolov3 설치하기 (0) | 2020.06.25 |
아가 뭐해? - 컴퓨터 셋팅(3) ubuntu에 Opencv 설치하기 (6) | 2020.06.2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파이썬
- 백준
- SSAFY
- 1699 자바
- swea 타일링 자바
- 프로그래머스 파이썬
- 프로그래머스 자바
- 백준 dp 문제
- swea 4070 타일링
- SWEA
- 파이썬 풀이
- 백준파이썬
- swea 1240 자바
- 백준 풀이
- 더 맵게
- 타일링 자바
- union-find
- 백준 17144
- 프로그래머스 더 맵게
- 3996 자바
- yoloV3
- poker swea
- 삼성청년SW아카데미
- 1240 자바
- swea 1240
- ubuntu
- swea 타일링
- 메뉴리뉴얼 풀이
- 우분투
- 프로그래머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